맨위로가기

소프트웨어 위젯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프트웨어 위젯은 데스크톱이나 모바일 운영체제, 또는 웹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소규모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뉴스, 날씨, 시계, 캘린더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위젯은 GUI 위젯, 데스크톱 위젯, 모바일 위젯, 웹 위젯 등으로 분류되며, 각기 다른 환경에서 사용된다. 198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2000년대 후반 윈도우 운영체제에 기본 탑재되면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해 지원이 중단되기도 했다. 현재는 모바일 환경과 웹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안드로이드와 iOS 등에서 홈 화면에 위젯을 배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젯 엔진 - 윈도우 데스크톱 가젯
    윈도우 데스크톱 가젯은 윈도우 비스타와 7에서 제공된 작은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정보를 데스크톱에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했으나, 윈도우 8에서 보안 문제로 인해 제거되었다.
  • 위젯 엔진 - 마이크로소프트 가젯
    마이크로소프트 가젯은 웹사이트에서 실행되는 웹 가젯, 데스크톱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사이드바 가젯, 외부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드쇼 가젯 등 다양한 형태의 작은 응용 프로그램이었으나, 보안 문제로 윈도우 8부터는 제거되었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메트로 (디자인 언어)
    마이크로소프트가 스위스 그래픽 디자인과 런던 지하철 표지판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메트로 디자인 언어는 큰 텍스트, 간결한 타이포그래피, 라이브 타일 등의 특징을 가지며 Windows, Xbox, Microsoft Office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었고, 상표권 문제와 함께 명칭 변경 및 MDL2로 진화하며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작업 표시줄
    작업 표시줄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화면 하단에 위치하여 프로그램 실행, 창 관리, 시스템 상태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이며, 윈도우 95부터 도입되어 다양한 사용자 정의 설정을 지원하며 발전해 왔다.
소프트웨어 위젯

2. 위젯 엔진의 개념 및 분류

위젯 엔진은 위젯 툴킷과 구별된다. 위젯 툴킷은 GUI 프로그래머가 여러 GUI 위젯(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을 결합하여 단일 응용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데 사용한다. 툴킷의 위젯은 단일, 낮은 수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며 툴킷의 다른 위젯과 통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반면에 위젯 엔진은 최종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 데스크톱 위젯 및 웹 위젯과 같이 독립 실행형, 작업 지향적인 응용 프로그램이다.[3]

리눅스 기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서 위젯의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 상단 추상화 계층에서 우분투 유니티(Ubuntu Unity) 위젯, KDE 플라즈마 워크스페이스(KDE Plasma) 위젯 및 데스크톱 위젯의 위치를 참조.


위젯 엔진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나 데스크톱에서 작동하는 소규모 액세서리 소프트웨어다. 구글구글 가젯(Google Gadget), 윈도우 비스타의 가젯, Mac OS X v10.4 타이거의 대시보드, 야후 위젯(Yahoo! Widget Engine) 등이 대표적이다. 모바일 위젯으로는 ACCESS의 NetFront Browser Widgets가 있으며, 야후 위젯 갤러리, Windows Live Gallery, Adobe AIR Gallery 등 가젯 공유 사이트도 있다.

2. 1. GUI 위젯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구성 요소는 컴퓨터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위젯은 체크 박스와 같은 일반적인 GUI 요소, 해당 요소의 인스턴스 또는 특정 기능이나 응용 프로그램(예: 사용자가 컴퓨터 화면 모양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대화 상자)에 사용되는 요소들의 사용자 정의된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위젯 툴킷소프트웨어 개발자가 GUI 위젯을 재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도구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빌더(예: Glade Interface Designer)는 GUI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2. 2. 데스크톱 위젯

대시보드 상에서 돌아가는 위키백과 위젯. OS는 맥 OS X 10.4이다.


데스크톱 위젯은 컴퓨터 데스크톱 환경에서 작동하며, 사용자에게 최신 뉴스, 현재 날씨, 시간, 달력, 사전, 지도 프로그램, 계산기, 데스크톱 노트, 사진 뷰어 또는 언어 번역기 등과 같이 단일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가상 도구이다. 1980년대 사람들이 개발하던 조그마한 프리웨어 응용 프로그램들과 비슷하다. 위젯은 그래픽 셸을 제공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2006년 11월 9일, 월드 와이드 웹 콘서시엄 내의 웹 애플리케이션 형식 워킹 그룹은 [http://www.w3.org/TR/2006/WD-widgets-20061109/ Widgets 1.0]이라는 첫 번째 공개 W3C 권고안을 내놓아 위젯에 대한 표준화 움직임이 있었다.

대표적인 데스크톱 위젯 엔진은 다음과 같다.

위젯 엔진운영체제비고
대시보드애플 매킨토시맥 OS X 10.4와 함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 가젯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Live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사용을 권장하지 않음.
플라즈마Linux버전 4부터 KDE에서 사용 가능
GNOME 셸 위젯 엔진Linux버전 3부터 GNOME에서 사용 가능
구글 데스크톱 가젯구글 데스크톱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중단되었으며 데이터 공유와 관련된 일부 보안 문제가 있음.
야후! 위젯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8, Windows 10, macOS야후에서 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윈도우에서 계속 작동하며; OS X 10.11 엘 캐피탄 이후 Yahoo 위젯 도크는 작동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위젯은 예상대로 계속 작동하며 메뉴에서 대신 액세스할 수 있음.
X위젯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8, Windows 10, 안드로이드최종 업데이트: 2015년 3월 2일 (Windows).
클루젯WindowsMac 대시보드 위젯이 Windows에서 작동하도록 허용. 오픈 소스이며 적극적으로 개발되지 않음.
오페라 위젯모든 플랫폼(데스크톱, 모바일 TV, 게임 콘솔)에서 오페라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을 사용브라우저 버전 12부터 중단[3]
스크린렛리눅스 및 기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X11에서 실행되며 산발적으로 개발
Maemo의 홈 화면 위젯Maemo
안드로이드의 홈 화면 위젯안드로이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액티브 데스크톱 시스템은 최초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데스크톱 오브젝트(object)라고 알려져 있다.

플라즈마 데스크톱의 초기 개발자 버전 (플라스모이드 포함)


2. 3. 모바일 위젯

휴대전화 등 휴대 기기에서 작동하는 위젯이다. 대부분 데스크톱 위젯과 유사하지만 휴대폰용으로 제작되었다. 모바일 위젯은 화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가 풍부한 애플리케이션을 기기 대기 화면/홈 화면에 배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Java ME 기반의 모바일 위젯 엔진이 존재하지만, Java에는 모바일 기기 홈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 기반 API가 없어 이러한 엔진이 전화기 상단에 위젯을 노출하기가 더 어렵다.

모바일 기기용으로 여러 AJAX 기반 네이티브 위젯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위젯의 보급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모바일 기기가 작고 인터페이스가 종종 어렵기 때문이다. 모바일 환경에서 방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단순한 귀찮음이 아니라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Android는 2009년 4월 27일에 출시된 Android 1.5 Cupcake부터 모바일 위젯을 네이티브로 지원해 왔으며, DashClock, Google Keep 및 HD 위젯 등이 대표적이다.[4]

iOS 운영 체제 역시 모바일 위젯을 지원한다. HarmonyOS는 '서비스 카드'라고 불리는 형태로 위젯을 지원하며, 설치가 필요 없는 앱과 위젯도 포함하고 있다.

2. 4. 웹 위젯

웹 위젯은 웹마스터가 사이트 방문자에게 쇼핑, 광고, 비디오 등 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HTML 기반 웹 페이지에 설치하고 실행하는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이다.[5][6][7]

웹 브라우저는 위젯 엔진 인프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웹은 사용자가 새로운 코드 조각을 설치하기 위해 명시적인 상호 작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위젯 배포에 적합한 환경이다.

웹 위젯은 상호 작용과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바이럴 배포를 제공하기 때문에 마케팅 채널로서 잠재력이 커 상업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최초의 웹 위젯으로 알려진 Trivia Blitz는 1997년에 소개되었다. 이것은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최고의 온라인 게임 회사였던 Uproar.com에서 제공하는 게임 애플릿이었으며, GeoCities 개인 페이지부터 CNN 및 타워 레코드까지 35,000개 이상의 웹사이트에 나타났다. Uproar.com이 2001년 Vivendi Universal에 인수되면서 위젯은 중단되었다.

3. 위젯 엔진의 역사와 현황

위젯은 1980년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초기 맥 OS의 데스크 액서서리는 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는 위젯과 유사한 형태였다.[1] 마이크로소프트액티브 데스크톱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최초의 데스크톱 오브젝트로 알려져 있다.

2006년 11월 9일,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은 위젯 표준화 작업을 시작했다.[8] 오페라 브라우저는 이 초안 W3C 표준을 채택한 최초의 클라이언트 측 위젯 엔진이다.[9]

2000년대 후반,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등에 위젯 엔진이 기본 탑재되면서 널리 보급되었으나,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는 보안 문제 등을 이유로 윈도우 8부터 위젯 엔진을 제거했다.[11][12]

현재는 모바일 환경과 웹 환경에서 위젯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4. 한국의 위젯

한국에서는 키젯과 같이 특정 기능을 키보드에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도 개발되었다. KDDI /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의 au one 가젯 등 통신사 주도의 모바일 위젯 서비스도 있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위젯이 사용되고 있다. 과거 데스크톱 위젯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윈도우에서 보안 문제로 지원을 중단한 이후 사용이 감소하였다. (보수 진영에서는 이러한 마이크로소프트의 결정을 보안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5. 위젯 엔진의 정보 흐름

데스크톱 위젯은 일반적으로 메모리 사용량이 적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스크톱의 작은 영역을 차지하며 표시된다. 사전 설정된 데이터 소스(예: 뉴스, 날씨)에서 정보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이다.[4]

참조

[1] 간행물 The X Toolkit: More Bricks for Building User-Interfaces, or, Widgets for Hire http://www-ftp.lip6.[...] 2007-01-03
[2] 서적 'Metawidgets: towards a theory of multimodal interface design'
[3] 웹사이트 Increased focus on Opera extensions and ending support for Unite applications and Widgets http://my.opera.com/[...] 2012-04-24
[4] 웹사이트 Top 10 Best Android Widgets Ever http://thedroidrevie[...] 2015-03-22
[5] 뉴스 Widgets Become Coins of the Social Realm https://www.washingt[...] 2007-11-03
[6] 웹사이트 Developers compete at Facebook conference http://www.sfgate.co[...] 2008-07-23
[7] 웹사이트 Facebook Expands Power of Platform Across the Web and Around the World https://www.facebook[...] Facebook 2008-07-23
[8] 웹사이트 Widgets 1.0 http://www.w3.org/TR[...] World Wide Web Consortium
[9] 웹사이트 Web Specifications Supported in Opera 9 http://www.opera.com[...] Opera ASA
[10] 웹사이트 Widgets 1.0 https://www.w3.org/T[...]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6-11-09
[11] 웹사이트 デスクトップのガジェット - Microsoft Windows http://windows.micro[...] 2012-11-01
[12] 웹사이트 マイクロソフト セキュリティ アドバイザリ (2719662) ガジェットの脆弱性により、リモートでコードが実行される http://technet.micro[...] マイクロソフト 2012-07-11
[13] 웹사이트 Increased focus on Opera extensions and ending support for Unite applications and Widgets http://my.opera.com/[...] オペラ・ソフトウェア 2012-04-24
[14] 뉴스 ヤフー、12月12日をもって“Yahoo!ウィジェット”のサービス提供を終了 https://forest.watch[...] 窓の杜 2012-11-01
[15] 웹사이트 iOS 14 https://www.apple.co[...] 2021-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